다산행정사사무소(010-9109-7073)

김진영 행정사

공무상재해요양

국민연금 가입 전 질병이 발병하였으나 당해 질병의 초진일이 가입 중에 있고 가입자가 가입 당시 발병사실을 알지 못한 경우, 장애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

김진영 행정사(010-9109-7073) 2020. 3. 19. 12:32

국민연금 가입 전 질병이 발병하였으나 당해 질병의 초진일이 가입 중에 있고 가입자가 가입 당시 발병사실을 알지 못한 경우, 장애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

 

갑이 국민연금 가입 이후에 폐결핵 후유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이 발병하여 호흡기 장애가 있다며 장애연금지급청구를 하였으나, 국민연금공단이 갑의 폐결핵 병력 등을 들어 장애의 원인이 된 질병이 국민연금 가입 중에 발생하지 않았다라는 이유로 장애연금 수급권 미해당 결정을 한 사안에서, 갑이 장애연금 수급권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원심판결에 장애연금 수급권의 요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대법원 2012. 4. 13. 선고 201131178 판결).


1. 구 국민연금법 제58조 제1항은 국민연금의 가입 중에 발생한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하여 그 완치 후에도 신체 또는 정신상의 장애가 있는 자에 대하여는 그 장애가 존속하는 동안 장애 정도에 따라 장애연금을 지급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장애의 원인이 된 질병 또는 부상이 국민연금의 가입 중에 발생하는 것이 장애연금 수급권의 요건이 되고, 따라서 장애의 원인이 된 질병 또는 부상이 국민연금의 가입 중에 발생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비록 장애가 국민연금의 가입 중에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장애연금의 수급권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대법원 2005. 10. 13. 선고 20057280 판결, 대법원 2006. 7. 28. 선고 200516918 판결 등 참조).


그런데 2007. 7. 23. 법률 제8541호로 전부 개정된 현행 국민연금법 제67조 제1항은 가입 중에 생긴 질병(당해 질병의 초진일이 가입 중에 있는 경우로서 가입자가 가입 당시 발병 사실을 알지 못한 경우를 포함한다)이나 부상으로 완치된 후에도 신체상 또는 정신상의 장애가 있는 자에 대하여는 그 장애가 계속되는 동안 장애 정도에 따라 장애연금을 지급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민연금 가입 이전에 당해 질병이 발병하였다고 하더라도 당해 질병의 초진일이 가입 중에 있는 경우로서 가입자가 가입 당시 발병사실을 알지 못한 경우에도 가입 중에 생긴 질병에 해당하여 장애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한편 현행 국민연금법 부칙은 제1조에서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고 규정하면서, 36조 제1항에서는 이 법 시행 전에 완치가 인정되었거나 초진일로부터 2년이 경과된 자에 대하여는 제67조 제1항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 사건에서 원고의 폐결핵 후유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이 현행 국민연금법 시행일인 2007. 7. 23. 이전에 완치되었거나 초진일로부터 2년이 경과된 경우에는 현행 국민연금법 부칙 제36조에 의하여 구 국민연금법 제58조 제1항이 적용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현행 국민연금법이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2. 현행 국민연금법에서 말하는 초진일이라 함은 신체 또는 정신상의 장애를 초래한 직접적인 질병에 대한 진료개시일을 의미하는 것이지, 위 장애의 원인이 된 질병의 진료개시일이나 또는 종전에 일응 그 질병에 합당한 치료를 받고 정상생활을 하다가, 그 후 신체의 장애를 초래할 질병이 재발된 경우에 종전의 진료개시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해석함이 상당하다( 대법원 1991. 11. 26. 선고 912205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와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의하면, 원고는 1975년경 폐결핵이 발병한 후 1991. 6.경 호흡장애, 폐기능 저하, 기관지천식 소견으로 진찰을 받고, 1993. 11. 11. 제왕절개로 출산할 무렵 쌕쌕 소리가 나는 호흡곤란 증상이 있었던 사실, 그러나 그 이후 원고는 1996. 6. 25.과 같은 달 27일 및 1997. 5. 25. 보건소에서 결핵균 검사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오고,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급한 건강보험 요양급여내역과 의료급여 수급권자 개인급여내역에도 원고가 2008. 4. 8. 충남대학교병원에서 폐의 진단적 영상상 이상소견으로 폐에 관한 진료를 개시하기 이전에는 폐결핵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요양급여나 의료급여를 받은 적이 없는 사실, 원고는 2008. 4. 8. 이후 상세불명의 급성 기관지염, 상세불명의 만성폐쇄성폐질환 등의 질병으로 진찰과 치료를 받다가 2009. 11. 20. 충남대학교병원으로부터 결핵의 후유증,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호흡기 장애인 2급에 해당한다는 장애진단을 받은 사실 등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사건 초진일은 원고의 이 사건 신체상의 장애인 호흡기 장애를 초래한 결과에 근접되고 바로 장애의 직접원인이 된 질병인 폐결핵 후유증,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진료개시일인 2008. 4. 8.로 보아야 할 것이고, 종전에 이미 치료종결된 질병인 폐결핵이 비록 의학적으로는 재발된 질병과 인과관계가 있다고 할지라도 종전 질병의 진단일을 현행 국민연금법에서 규정한 초진일로 볼 수는 없다.

 

또한 원고가 호흡기 장애의 원인이 되는 상병인 폐결핵 후유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2008. 4. 8.부터 진료를 받기 시작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현행 국민연금법 시행일인 2007. 7. 23. 이전에 폐결핵이 완치되었는지는 별론으로 하고 폐결핵 후유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완치되었다고 볼 수도 없을 것이다.

 

따라서 원고의 폐결핵 후유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이 국민연금법 시행일인 2007. 7. 23. 이전에 완치되었거나 초진일로부터 2년이 경과된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이 사건에 구 국민연금법 제58조 제1항의 종전규정이 적용될 수는 없고, 현행 국민연금법 제67조 제1항의 개정규정이 적용되어야 한다.

 

3. 현행 국민연금법 제67조 제1항 소정의 가입 중에 생긴 질병 또는 부상의 의미는 장애의 원인이 된 질병 또는 부상이 의학적·객관적으로 판단할 때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에 발생하여야 한다는 뜻으로 보아야 한다 ( 대법원 2006. 7. 28. 선고 200516918 판결 참조). 따라서 앞서 본 바와 같이 원고가 1993년 이후 폐에 관한 질병으로 진찰 및 치료를 받지 않다가 1996년과 1997년 결핵균 검사에서 음성판정을 받고 2008. 4. 8.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폐의 진단적 영상상 이상소견으로 다시 폐기능 이상으로 진료를 개시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호흡기 장애의 원인이 된 질병인 폐결핵 후유증, 만성폐쇄성폐질환은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에 발생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결국 원고는 국민연금법 제67조 제1항의 개정규정에 따라 장애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4.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정만으로 이 사건에 구 국민연금법 제57조 제1항의 종전규정이 적용된다고 전제한 다음 원고의 폐결핵 후유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이 국민연금 가입 중에 발생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고 장애연금의 수급권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장애연금 수급권의 요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