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행정사사무소(010-9109-7073)

김진영 행정사

행정처분 이의

건설기술 진흥법 제53조 제1항에서 규정한 벌점부과처분이 부과 여부 기속행위

김진영 행정사 2025. 5. 11. 00:35
728x90

건설기술 진흥법 제53조 제1항에서 규정한 벌점부과처분이 부과 여부 기속행위

구 건설기술관리법(2001. 1. 16. 법률 제63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21조의4 1항은 건설교통부장관, 발주청과 건설공사의 허가인가승인 등을 한 행정기관의 장은 건설업자, 설계 등 용역업자나 그에 고용된 건설기술자, 감리원 등이 설계 등 용역책임감리 또는 건설공사를 성실하게 수행하지 아니함으로써 부실공사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부실의 정도를 측정하여 부실벌점을 줄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었고,

 

같은 조 제2항은 발주청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부실벌점을 받은 자에 대하여 그 부실벌점에 따라 입찰 시 불이익을 줄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었다.

 

런데 이 법이 2001. 1. 16. 법률 제6369호로 개정되면서 기존 제21조의4 1항의 부실벌점을 줄 수 있다.’부실벌점을 주어야 한다.’, 같은 조 제2항의 불이익을 줄 수 있다.’불이익을 주어야 한다.’로 개정되었다. 그 개정 이유는 종전에는 건설공사 또는 설계 등 용역업무를 부실하게 수행한 경우 부실벌점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앞으로는 이를 의무적으로 부과하도록 함으로써 건설공사 및 설계 등 용역업무의 부실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이었다.

 

이러한 제21조의4 1, 2항의 내용은 이 법이 2013. 5. 22. 법률 제11794호로 전부 개정되고 법률의 제명이 건설기술 진흥법으로 변경된 이후에도 건설기술 진흥법 제53조 제1, 2항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설기술 진흥법 제53조 제1, 2항의 형식이나 체계, 문언과 개정 경위 및 내용, 건설공사 부실 방지의 중요성 및 부실공사에 대한 제재 필요성 등을 종합하면, 건설기술 진흥법 제53조 제1항은 부실공사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행정청이 벌점을 의무적으로 부과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건설기술 진흥법 제53조 제1항에서 규정한 벌점부과처분은 부과 여부에 관한 한 행정청의 재량이 인정되지 않는 기속행위이다(202354242).

728x90